우리가 살아가면서 받아들이는 세상의 원칙 중, '등가교환'이라는 개념을 자주 마주치게 됩니다. 요즘은 특히나 더 그렇지요. "Give and Take", "내가 주는 만큼 받는다," 혹은 "받는만큼 준다." 이러한 생각은 어디서부터 시작된 걸까요? 그러나 사랑과 같은 감정 앞에서, 이 원칙은 과연 그대로 적용될까요? '강철의 연금술사'에서 에드와 윈리의 대화를 통해, 이러한 생각에 대해 깊이 있게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강철의 연금술사' 강철의 연금술사'는 등가교환의 원칙을 근간으로 한 작품입니다. 이 원칙은 연금술의 핵심이자, 삶과 죽음, 선택과 포기 사이에서 꾸준히 등장합니다. "네가 얻고자 하는 것의 가치만큼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 이 문장은 단순히 연금술에만 국한된 말이 아닌, 우리 삶의 많은 ..
챗지피티(chatGPT)를 너무 잘사용하고 있지만, 구글의 AI 모델인 바드(bard)도 잘 쓰고 있다. 초창기에는 한글을 인식못해서 사용하기 애매한것도 있었고, 답변도 썩 좋지는 않았는데, 한글패치가 되면서 답변 퀄리티도 괜찮고 원하는 바를 잘 알려준다. 뿐만아니라 최신정보도 알려주기 때문에 점점 괜찮아지고 있다. 그리고 bard API가 공개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한번 적용해보기로 했다. Node.js로 Bard API를 사용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1. Google Cloud Platform 콘솔에서 Bard API를 활성화합니다. Google Cloud Platform 콘솔에 로그인합니다. [API 및 서비스]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라이브러리] 탭을 클릭합니다. [Bard API]를 검색합..
보통 UML 다이어그램이나 차트를 그릴 때는 PPT나 다른 복잡한 도구들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런 도구들로 블로그나 웹사이트에 삽입하기에는 너무나 번거로운 경우도 있다. 그러던 중, Markdown 구문만으로도 다양한 다이어그램과 차트를 그릴 수 있는 간편한 도구인 Mermaid를 발견하게 되었다. Mermaid의 개요 Mermaid | Diagramming and charting tool Mermaid Diagramming and charting tool JavaScript based diagramming and charting tool that renders Markdown-inspired text definitions to create and modify diagrams dynamica..
ChatGPT와 같은 고급 AI 시스템의 출현으로 초보 개발자들이 과연 필요할까에 대한 의문이 제기됩니다. 많은 이들이 AI의 발전이 인간 개발자를 대체할 것이라고 우려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질문을 던져보아야 합니다. 기술은 끝없이 발전할 것이며, 이 변화 속에서 초보 개발자들이 차지하는 위치는 어디일까요? 고용 시장의 미래에 대해 우려 저명한 컴퓨터 과학자이자 개발자인 그레이스 호퍼(Grace Hopper)가 말했다. "The most dangerous phrase in the language is 'we've always done it this way.'" "언어에서 가장 위험한 문구는 '우리는 항상 이런 식으로 해왔습니다.' 이다." 특히 기술 산업에 막 진입하는 사람들을 위해 고용 시장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