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프로그래밍

조도센서는 빛의 양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센서로, 주로 환경 밝기에 따른 반응으로 다양한 응용에서 사용됩니다. 이번에는 아두이노와 HS-CDSM 디지털 조도센서를 사용하여 어떻게 빛을 감지하는지 실험해보겠습니다. 조도센서의 원리 조도센서는 CDS라고도 하며, 황화 카드뮴(cadmium sulfide)을 기반으로 합니다. 빛의 양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특징을 가집니다. 빛이 많이 들어올수록 저항이 감소하고, 빛이 적을수록 저항이 증가합니다. HS-CDSM 조도센서의 특징 대부분의 조도센서는 4개의 핀을 가지고 있지만, HS-CDSM은 디지털 출력만을 제공하는 센서입니다. 이로 인해 결과값은 0(어두움)과 1(밝음)로만 출력됩니다. 이는 아날로그 값을 통한 상세한 밝기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
나만의 스마트팜시스템을 만들고 싶어요. 그럴려면 토양의 수분 상태를 알아내는게 필수랍니다. 아두이노와 HS-Soil Moisture Sensor를 활용하면 간단하게 토양의 수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토양수분센서(HS-Soil Moisture Sensor)의 작동 원리와 아두이노로 값을 얻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토양수분센서 HS-Soil Moisture Sensor의 특징 이 센서는 두 개의 뾰족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토양의 수분을 감지합니다. 센서의 수분 측정 높이는 약 4cm입니다. 2. 센서 연결 방법 센서에는 +와 - 핀이 구분되어 있지 않아, 아두이노에 직접 연결할 수 있습니다. VCC(5v), Gnd, D0(Digital), A0(Analog..
멱군
'아두이노프로그래밍'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