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환경설정

이번에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대용량 파일 업로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Node.js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제가 최근에 사용하고 있는 툴은 IntelliJ인데 설정창에서 Node.js가 보이지 않습니다.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 이 글에서는 IntelliJ에서 Node.js 개발 환경을 설정하고,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IntelliJ에서 Node.js 개발 환경 설정하기 & 프로젝트 생성1. Plug-in 설치IntelliJ에서 Node.js 개발을 위해 필요한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합니다.플러그인은 IntelliJ에 특정 언어 또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확장 모듈이기 때문에 설치를 함으로써 Nodej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Setti..
· TOOLS
Visual Studio를 사용하다 보면, 실수로 도구상자(ToolBox)를 닫거나 숨김 처리하여 찾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C# 프로젝트 개발 시 도구상자는 다양한 컨트롤과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라진 도구상자를 다시 활성화하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좋아요. 여기 간단하게 도구상자를 다시 표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Visual Studio 도구상자 활성화하기 Visual Studio 상단 메뉴에서 보기(View) > 도구상자(ToolBox)를 선택합니다. 이 경로를 따라가면, 화면의 왼쪽 또는 기본 위치에 도구상자가 다시 나타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키보드 단축키 Ctrl + Alt + X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단축키를 사용하면 도구상자를 빠르게 열 수 있답니다. 2..
OpenCV Sharp을 사용하여 C# 프로젝트를 개발할 때, 컴파일은 문제없이 완료되지만 실행 시 DLL 관련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OpenCV Sharp 및 OpenCV 관련 DLL 파일들이 실행 폴더에 포함되지 않았을 때 자주 발생합니다. 프로젝트의 실행 환경에 필요한 모든 종속성 파일이 제대로 위치해 있지 않으면, 실행 파일은 필요한 DLL을 찾을 수 없어 실행 중에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OpenCV Sharp Dll error 발생 OpenCV Sharp이 컴파일이 잘되는데 실행만 하면 에러납니다. 과연 원인이 뭘까요? 해결 방법 OpenCV Sharp 관련 에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OpenCV Sharp 및 OpenCV 관련 DLL 파일들을 실행 폴더에 포함시켜야 ..
Visual Studio 버전 업그레이드는 개발 프로세스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러나 때때로 이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Visual Studio 2005 또는 2008에서 작성된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 2010으로 마이그레이션할 때 "FileTracker : error FTK1011"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해당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명확한 접근 방법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문제의 원인 "FileTracker : error FTK1011" 오류는 Visual Studio 2010이 프로젝트 파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여러 행을 반환하는 서브쿼리와 같이 파일 추적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해결 방법 이 오류를 해결하기..
멱군
'개발환경설정' 태그의 글 목록